인터넷 서핑을 하다가 흥미로운 것을 발견하게 된다.
하고 있는 일의 특성상 PLC라는 것을 접할 기회가 종종 생기는데
/////////////
PLC라 함은
프로그래머블 로직 컨트롤러(영어: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, PLC)는 산업 플랜트의 유지관리 및 자동 제어 및 모니터링에 사용하는 제어 장치이다. PLC는 입력을 프로그램에 의해 순차적으로 논리 처리하고 그 출력 결과를 이용해 연결된 외부장치를 제어한다.
/////////////
뭐뭐 간단하게 말하자면 자동화 공장에서 기계를 돌릴 때 쓰는 것이 되시겠다.
자!! 요 PLC라는 기기 자체가 비싸기도 하고 일반적으로 볼 수 없는 물건이다 보니
전문 교육기관 혹은 회사에서만 볼 수 있는데
라즈베리파이피코에 에뮬레이터 개념으로 쓸 수 있다고 하는 것이었다!!!
OpenPLC라는 것도 있긴 한데 기왕이면 현업에서 많이 쓰고 있는 Melsec PLC FX1N을 에뮬레이션 할 수 있다고 하니
성능이야 어찌됐건 마침 라즈베리파이 피코도 있고 하니 함 올려 볼 꺼이나? ㅡ.ㅡㅋ
설치는 매우 간단하다. 간단하게 설명하자면... 일단 RaspberryPi Pico가 있어야 하고,
https://github.com/suratin27/Pico-PLC-FX1N 하기 사이트에서 zip 파일을 다운로드한 뒤 앞축을 해제하면
Firmware.ino.uf2 파일이 있을 텐데 Pico 전원 연결 시 Reset 버튼을 눌러서 Firmware 쓰기 모드로 부팅하면
탐색기에서 요렇게 외장 드라이브가 생기고 요 안에 Firmware.ino.uf2 파일을 복사 붙여 넣기 하면
알아서 재부팅을 하게 되며 H/W 준비는 끝난다.
너무 간단해서 뭐 설명하고 자시고 할 것도 없다. ㅡ.ㅡㅋ
인자 Melsec GX Works2라는 프로그램을 설치하고 새 파일을 선택하고
다음 그림과 같이 FXCPU -> FX1N/FX1NC 선택하고 OK를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PLC 프로그램을 사용해 볼 수 있다.
Connection 설정에서 Serial Port 설정하고 Connection Test 하면 연결이 완료된다.
흠... PLC는 전문가의 영역이기 때문에 하루아침에 배울 수 있지도 않고 많은 시간을 들여서 배워야 한다.
나처럼 호기심에 몸 둘 바를 모르는 사람이 아니라면 와이프님 등짝 스메시를 맞아가며 구매할 필요는 없을 것 같다.
다행히 Pico를 예전에 구매해 놓은 게 있어서 활용처를 찾아보다가 알게 된 내용으로
버튼입력 같은경우 지연이 좀 있긴 하지만 간단한 동작 확인 등에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보인다.
일단 좀 더 이것저것 테스트해 봐야겠다...
다음은 설치완료 후 Test 화면이다 ㅡ.ㅡㅋ
'남기기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라즈베리파이 넥스트클라우드 (번외) (2) | 2023.11.29 |
---|
댓글